본문 바로가기

나의 이야기

누구나 고통을 가지고 있다

 “머리 위의  어떤 사물을 보고 '구름'이라고 했다”면 그것은 의식이 대상과 1차적 관계를 맺은 결과(언어)다.  “구름을 보고 구름이라고 의식했다”면 그것은 의식이 대상과 2차적 관계를 맺은 결과(언어)다. 이런 2차적 관계 인 언어(매체)를 흔히들 시어(예술)이라고 한단다. 여기서 詩를 ‘과학이 자연으로부터 빼앗을 수 있는 모든 비밀에 대한 눈부신 해설’’이라고 했던, 앙드레 쉐니에(프랑스/시인/정치언론인/1762~94)의 시 한편을 떠올려 본다.

<인간은 누구나 고통을 가지고 있다>

인간은 누구나 고통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 눈에 띄게 하지 않기 위해

평온한 얼굴 모습으로 자신이 고뇌를 숨기고 있다

각자 자기만을 측은히 여긴다

자기 권태로움 속에서 자기를 불쌍히 여기는 또 다른 사람을 부러워 한다

그가 번민을 숨기듯이

다른 사람들 모두가 그들의 고뇌를 감출 줄 알기 때문이다

모두들 눈물을 머금은 채 괴로운 마음으로

혼자 중얼거린다

“나만 빼놓고 다른 사람은 모두 행복하다”

그러나 그들 모두는 불행하다

그들은 극성스럽게 기도드리고 외치면서 하늘나라에게

그들의 운명이 변하게 해 달라고 간청한다

그러면 그들의 운명이 변하지만

곧 또다시 눈물을 흘리며

고통스런 불행만을 교환하고 말았음을 깨닫게 된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억지 진리  (0) 2022.06.21
왜 그러는 것일까?  (0) 2022.06.06
공짜 점심은 없다  (0) 2022.04.07
모든 진리는 거짓이다(?)  (0) 2022.03.20
소외는 벗어날 수 없는 것인가  (0) 2022.03.12